스쿠버 /스쿠버 다이빙 이론
공기소비율
까스강사
2006. 7. 9. 13:40
공기소비율이
비슷한 다이버끼리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 공식
(공기소비량 / 시간) 10
------------------------- = 공기소비율
수심 + 10
ex) 10m에서 10분간 숨쉰 공기량이 30bar(kg/cm2)인 경우 공기소비율?
( 30bar / 10분 ) 10 3 * 10 30
----------------- = ------------ = -------- = 1.5 bar
10m + 10 20 2
위의 공식에 대입을 하면 공기소비율을 쉽게 얻을수 있다.
하지만 내일이면 공식이 생각이 안날 것이다. 하지만 공기소비율공식 역시 괭장히 중요하다.
ex) 10m에서 10분간 숨쉰 공기량이 30bar(kg/cm2)인 경우 공기소비율은?
1단계 - 10m / 10분 / 30 bar
2단계 - 10m / 1분 / 3 bar (10분을 1분단위로)
3단계 - 2기압 / 1분 / 3 bar (10m를 2기압으로)
4단계 - 1기압 / 1분 / 1.5 bar 공기 소비율은 1.5입니다.
(2기압 상태에서는 1기압 보다 2배의 공기를 마시게 되므로 2기압
상태에서의 공기량을 기압으로 나누어야 한다.)
ex) 5m에서 10분간 숨쉰 공기량이 20bar인 경우 공기소비율은?
1단계 - 5m / 10분 / 20 bar
2단계 - 5m / 1분 / ( 2 )bar
3단계 -(1.5)기압/ 1분 / ( 2 )bar
4단계 - 1기압 / 1분 / (1.33)bar
ex) 만약 5m에서 10분간 숨쉰 공기량이 30bar인 경우 공기소비율은?
1단계 - 5m / 10분 / 30 bar
2단계 - 5m / 1분 / ( 3 )bar
3단계 -(1.5)기압 / 1분 / ( 3 )bar
4단계 - 1기압 / 1분 / ( 2 )bar 공기소비율은 2bar
공기소비율은 일반적으로 초보다이버일 경우는 2.0 bar 전후입니다.
중급다이버 1.5 bar 정도, 상급다이버 및 강사레벨은 1.0 bar~1.2 bar정도,
상급여성다이버일 경우는 0.9 bar까지 나오는 경우가 있다.
2. 공기소비량 계산
공기소비량을 계산하고 나면 다이빙 계획을 세워 봐야 한다.
ex) 공기소비율이 1.5인 다이버가 30m에서 30분간 다이빙이 가능한가?
1단계 - 1 기압 / 1 분 / 1.5 bar
2단계 - 4 기압 / 1 분 / 6 bar (30m는 4기압)
3단계 - 4 기압 / 30 분 / 180 bar
위의 경우 다이버가 필요한 공기량은 180bar 이다.
일반적으로 다이버의 공기통에는 200bar의 공기가 채워져 있다. 그렇다면 다이빙이 가능하다고 하겠지만 그렇치가 않다.
다이버가 다이빙을 마치고 수면에 도착하였을 때, 적어도 50bar의 공기가 남아있어야 하므로 위의 경우 다이빙이 불가능하다고 본다.
해결방법은 수심을 얕게 또는 다이빙타임을 줄이면 가능하다
3. 다이빙 포인트의 선정
다이빙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비치다이빙일 경우 어느정도에서 되돌아와야 하는지를 정해야 한다.
어느정도지점에서 되돌아오면 좋은지 생각해 보길..
다이빙 계획을 세울 때 항상 필요한 ⅓ 법
버디중 공기소비율이 놓은사람(호흡량이 많은사람) 기준으로 거리 계산
다이빙 포인트까지 공기의 ⅓을 사용할만큼만 이동하고
⅓은 돌아올때 사용하고
⅓은 부상시 사용하고
수면에 올라왔을 경우 50bar가 남도록 계획을 짜야 한다.
ex) 공기소비율이 1.5인 다이버가 200bar의 공기통을 가지고 30m를 갈 경우 몇분간 다이빙이 가능한가?
1단계 - 1 기압 / 1 분 / 1.5 bar
2단계 - 4 기압 / 1 분 / 6 bar
3단계 - 4 기압 / ? 분 / 150 bar (200bar - 50bar = 150bar)
4단계 - 4 기압 / 25분 / 150 bar (150bar / 6 bar = 25분)
다이빙중 필요한 충분한 공기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공기소비율을 알고 있어야 한다.
위와 같이 공기소비율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것이다.
하지만 공기소비율은 수온에 따라서, 활동량에 따라서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공기 소비량을 낮추기 위해 숨을 참을 경우(또는 스킵호흡)는 산소 부족으로 두통 또는 졸음이 올 수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호흡을 참아서는 안된다.
■ 공식
(공기소비량 / 시간) 10
------------------------- = 공기소비율
수심 + 10
ex) 10m에서 10분간 숨쉰 공기량이 30bar(kg/cm2)인 경우 공기소비율?
( 30bar / 10분 ) 10 3 * 10 30
----------------- = ------------ = -------- = 1.5 bar
10m + 10 20 2
위의 공식에 대입을 하면 공기소비율을 쉽게 얻을수 있다.
하지만 내일이면 공식이 생각이 안날 것이다. 하지만 공기소비율공식 역시 괭장히 중요하다.
ex) 10m에서 10분간 숨쉰 공기량이 30bar(kg/cm2)인 경우 공기소비율은?
1단계 - 10m / 10분 / 30 bar
2단계 - 10m / 1분 / 3 bar (10분을 1분단위로)
3단계 - 2기압 / 1분 / 3 bar (10m를 2기압으로)
4단계 - 1기압 / 1분 / 1.5 bar 공기 소비율은 1.5입니다.
(2기압 상태에서는 1기압 보다 2배의 공기를 마시게 되므로 2기압
상태에서의 공기량을 기압으로 나누어야 한다.)
ex) 5m에서 10분간 숨쉰 공기량이 20bar인 경우 공기소비율은?
1단계 - 5m / 10분 / 20 bar
2단계 - 5m / 1분 / ( 2 )bar
3단계 -(1.5)기압/ 1분 / ( 2 )bar
4단계 - 1기압 / 1분 / (1.33)bar
ex) 만약 5m에서 10분간 숨쉰 공기량이 30bar인 경우 공기소비율은?
1단계 - 5m / 10분 / 30 bar
2단계 - 5m / 1분 / ( 3 )bar
3단계 -(1.5)기압 / 1분 / ( 3 )bar
4단계 - 1기압 / 1분 / ( 2 )bar 공기소비율은 2bar
공기소비율은 일반적으로 초보다이버일 경우는 2.0 bar 전후입니다.
중급다이버 1.5 bar 정도, 상급다이버 및 강사레벨은 1.0 bar~1.2 bar정도,
상급여성다이버일 경우는 0.9 bar까지 나오는 경우가 있다.
2. 공기소비량 계산
공기소비량을 계산하고 나면 다이빙 계획을 세워 봐야 한다.
ex) 공기소비율이 1.5인 다이버가 30m에서 30분간 다이빙이 가능한가?
1단계 - 1 기압 / 1 분 / 1.5 bar
2단계 - 4 기압 / 1 분 / 6 bar (30m는 4기압)
3단계 - 4 기압 / 30 분 / 180 bar
위의 경우 다이버가 필요한 공기량은 180bar 이다.
일반적으로 다이버의 공기통에는 200bar의 공기가 채워져 있다. 그렇다면 다이빙이 가능하다고 하겠지만 그렇치가 않다.
다이버가 다이빙을 마치고 수면에 도착하였을 때, 적어도 50bar의 공기가 남아있어야 하므로 위의 경우 다이빙이 불가능하다고 본다.
해결방법은 수심을 얕게 또는 다이빙타임을 줄이면 가능하다
3. 다이빙 포인트의 선정
다이빙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비치다이빙일 경우 어느정도에서 되돌아와야 하는지를 정해야 한다.
어느정도지점에서 되돌아오면 좋은지 생각해 보길..
다이빙 계획을 세울 때 항상 필요한 ⅓ 법
버디중 공기소비율이 놓은사람(호흡량이 많은사람) 기준으로 거리 계산
다이빙 포인트까지 공기의 ⅓을 사용할만큼만 이동하고
⅓은 돌아올때 사용하고
⅓은 부상시 사용하고
수면에 올라왔을 경우 50bar가 남도록 계획을 짜야 한다.
ex) 공기소비율이 1.5인 다이버가 200bar의 공기통을 가지고 30m를 갈 경우 몇분간 다이빙이 가능한가?
1단계 - 1 기압 / 1 분 / 1.5 bar
2단계 - 4 기압 / 1 분 / 6 bar
3단계 - 4 기압 / ? 분 / 150 bar (200bar - 50bar = 150bar)
4단계 - 4 기압 / 25분 / 150 bar (150bar / 6 bar = 25분)
다이빙중 필요한 충분한 공기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공기소비율을 알고 있어야 한다.
위와 같이 공기소비율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것이다.
하지만 공기소비율은 수온에 따라서, 활동량에 따라서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공기 소비량을 낮추기 위해 숨을 참을 경우(또는 스킵호흡)는 산소 부족으로 두통 또는 졸음이 올 수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호흡을 참아서는 안된다.